목록빅데이터/SQLD (3)
Practice makes perfect

아키텍처(Architecture) 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물리 레벨의 조합(서버의 기능, 저장소와 네트워크 기기의 조합 등)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시스템의 구성 아키텍처 통해 시스템의 용도와 목적 추측 가능 ● IT 아키텍처(Architecture) : 일정 기준과 절차에 따라 조직 전체의 정보화 구성요서를 통합분석 후 그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제 이를 바탕으로 정보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방법 ● IT 시스템 아키텍처 예시 - 아키텍처 구성을 시스템의 목적에 맞게 결정하는 과정, 서버, OS, 미들웨어, 저장소 등 폭젋은 지식 필요 - 적정 비용으로 필요 시스템 구축하기 휘해서도 매우 중요 ● IT 아키텍처의 역사 단계 특징 Stand-alone - 1980년대까지 널리 이용 - 데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는 키(Key)와 값(Value)들의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화 시킨 매우 간단한 원칙의 전산정보 데이터베이스임 보통 RDB라고 불림. 2차원 표를 이용한 데이터 목록화 관리를 하는 것이 주목적(Excel, Google 스프레드 시트) 실세계를 그대로 반영함으로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주소록, 출석부, 가계부 등) 우리는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모든 정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관리 가능 ● 관계형 모델 관계형 모델(relational model)은 집합론에 기반을 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 모델임 이 모델은 에드거 커드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고 체계화 되었다. 컬럼(열)과 로우(행)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 란? 데이터 베이스는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적으로 저장된 체계적 데이터의 모듬 컴퓨터가 초기 발명된 시점에는 과학적인 연구의 용도(수학적 계산)로 사용 컴퓨터 과학이 발전하면 점점 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요구사항 증가 이러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도입 ● 데이터 베이스 사용 이전 - 일반 텍스트 파일 사용 - 데이터베이스 발명 이전에 데이터는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 및 관리 - 파일 형태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공유하기 어려움 - 파일을 서로 주고받으면서 데이터의 유실 등의 가능성 존재 ● 모든 것이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되는 시대 - 현재 모든 것이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 - 주소록, 직원관리, 매출관리, 쇼핑몰, 영화 예매, 증권, 등등 - 텍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