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인분석(Factor Analysis) - 예측분석

: 여러개의 서로 관련이 있는 변수들로 측정된 자료에서 그 변수들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공통변수를 파악하는 통계적 분석방법입니다. 유사성을 띈 데이터의 축약을 목적으로 하는 분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인분석의 특징 

 

1) 다수의 변수들을 대상으로 변수들 간의 관계 분석(타당성 분석) 

 

2) 공통 차원으로 축약하는 통계기법(변수 축소) - 데이터 축소 

    - 유사성을 가진 데이터들을 하나로 묶음. 

 

 

 요인분석의 종류(개입의 여부로 나눔)


1) 탐색적 요인분석 : 요인분석을 할 때 사전에 어떤 변수들끼리 묶어야 한다는 전제를 두지 않고 분석하는 방법(개입X)

                          - 변수 압축이 목적(주성분분석, 주요인분석, 최대우도요인분석 ...)


2) 확인적 요인분석 : 요인분석을 할 때 사전에 묶여질 것으로 기대되는 항목끼리 묶여지는지를 분석하는 방법(개입O)

                          - 어떤 가설이나 모델의 검증이 목적

 

 

요인분석의 방법

 

1) 변수간의 상관행렬로부터 공통요인을 도출

2) 도출된 공통요인을 이용해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설명

3) 요인부하량(factor loading)은 ±0.3 이상이면 유의하다고 봄.

 

 

● 요인의 수와 유의성 판단 기준

 

- 상관 계수 행렬 R의 고유값이 1이상인 경우 채택하며, 요인의 유의성은 다음의 기준을 따른다.

- 수학적 근거 보다는 통상적으로 개체수 n>= 50인 경우 절대값 기준으로

   요인부하값 > 0.3 : 유의함  

   요인부하값 > 0.4 : 좀 더 유의함

   요인부하값 > 0.5 : 아주 유의함

 

 

요인분석의 목적 


1) 자료의 요약 : 변인을 몇 개의 공통된 변인으로 묶음 (주성분 분석과 비슷)

                    -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변수들이 동일한 요인으로 묶이는지 확인


2) 변인 구조 파악 : 변인들의 상호관계 파악(독립성 등) 


3) 불필요한 변인 제거 : 중요도가 떨어진 변수 제거 


4) 측정도구 타당성 검증 : 변인들이 동일한 요인으로 묶이는지 여부를 확인 / ex ) 설문의 질문의 타당성 

                                 - 회귀분석이나 판별분석의 설명변수 선택

 

 

전제조건 

 

- 등간척도 or 비율척도, 정규분포, 관찰치 상호독립적/분산 동일  

-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셋이 준비되어 있어야 함.

- 분석에 사용되는 변수는 등간척도나 비율척도이여야 하며, 표본의 크기는 최소 50개 이상이 바람직함 【중심극한정리】

- 요인분석은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들끼리 그룹화하는 것이므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다면(보통 ±3 이하)

  그 자료는 요인 분석에 적합하지 않음. 

- 변수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함.

- 최초 요인 추출 단계에서 얻은 고유치를 스크리 차트로 표시했을 때 한 군데 이상 꺽이는 곳이 있어야 함.

- 모상관 행렬이 단위 행렬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어야 함. (KMO and Bartleet's 검정)

 

 

요인분석 결과에 대한 활용 방안 


-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변수들을 합치거나 중복된 변수를 제거하여 변수를 축소
- 변수들 간의 연관성 또는 공통점 탐색 
- 요인점수 계산으로 상관분석, 회귀분석의 설명변수로 이용 

 

 

* 요인 추가정보 

더보기

요인

factor 범주형 변수(요인형 변수)에서 가질 수 있는 값을 범주라고 합니다. . 

ex) 성별 - 남, 여 

 

- factor의 자료형 = numeric 

why :  요인이 가지는 개수를 요인이라는 자료형에서 관리하고 그것을 자료형인 numeric(값이 가질 수 있는 범위) 으로보여줍니다. 

 

ex ) factor의 자료형(=numeric) 

 

gender <- c('man','woman','woman','man','woman')
mode(gender) 출력값 : character

요인형 변환 

as.factor() 함수 이용 범주(요인)형 변환

Ngender <- as.factor(gender)

mode(Ngender) 출력값 :  "numeric"

 

대표적인 요인형으로 관리하는 요소  : 명목척도, 서열척도 

+ 요인 ) 순서를 부여할 수 있다. ( default  = 순서 x (알파벳 순서) ) 

 

1. 공통요인으로 변수 정제 

 

- 변수와 데이터프레임 생성 

s1 <- c(1, 2, 1, 2, 3, 4, 2, 3, 4, 5) # s1 : 자연과학
s2 <- c(1, 3, 1, 2, 3, 4, 2, 4, 3, 4) # s2 : 물리화학
s3 <- c(2, 3, 2, 3, 2, 3, 5, 3, 4, 2) # s3 : 인문사회 
s4 <- c(2, 4, 2, 3, 2, 3, 5, 3, 4, 1) # s4 : 신문방송
s5 <- c(4, 5, 4, 5, 2, 1, 5, 2, 4, 3) # s5 : 응용수학
s6 <- c(4, 3, 4, 4, 2, 1, 5, 2, 4, 2) # s6 : 추론통계

name <-1:10 # 각 과목 문항 이름

subject <- data.frame(s1, s2, s3, s4, s5, s6)

subject

-출력값- 
  s1 s2 s3 s4 s5 s6
1   1  1  2  2  4  4
2   2  3  3  4  5  3
3   1  1  2  2  4  4
4   2  2  3  3  5  4
5   3  3  2  2  2  2
6   4  4  3  3  1  1
7   2  2  5  5  5  5
8   3  4  3  3  2  2
9   4  3  4  4  4  4
10  5  4  2  1  3  2

str(subject) 

- 출력값 - 
'data.frame':	10 obs. of  6 variables:
 $ s1: num  1 2 1 2 3 4 2 3 4 5
 $ s2: num  1 3 1 2 3 4 2 4 3 4
 $ s3: num  2 3 2 3 2 3 5 3 4 2
 $ s4: num  2 4 2 3 2 3 5 3 4 1
 $ s5: num  4 5 4 5 2 1 5 2 4 3
 $ s6: num  4 3 4 4 2 1 5 2 4 2
 
summary(subject)

- 출력값 -
 s1             s2             s3            s4             s5             s6     
 Min.   :1.00   Min.   :1.00   Min.   :2.0   Min.   :1.00   Min.   :1.00   Min.   :1.0  
 1st Qu.:2.00   1st Qu.:2.00   1st Qu.:2.0   1st Qu.:2.00   1st Qu.:2.25   1st Qu.:2.0  
 Median :2.50   Median :3.00   Median :3.0   Median :3.00   Median :4.00   Median :3.5  
 Mean   :2.70   Mean   :2.70   Mean   :2.9   Mean   :2.90   Mean   :3.50   Mean   :3.1  
 3rd Qu.:3.75   3rd Qu.:3.75   3rd Qu.:3.0   3rd Qu.:3.75   3rd Qu.:4.75   3rd Qu.:4.0  
 Max.   :5.00   Max.   :4.00   Max.   :5.0   Max.   :5.00   Max.   :5.00   Max.   :5.0  
 
 View(subject)

-- R은 4.0, 3.0, 4.0, 4.0, 2.0 으로 저장, 자료형 = numeric 

 

 

- 변수의 주요 성분분석 

pc <- prcomp(subject) 
summary(pc)

-출력값- 
                                   PC1    PC2     PC3     PC4     PC5     PC6
표준편차 : Standard deviation     2.389 1.5532 0.87727 0.56907 0.19315 0.12434
분산비율 : Proportion of Variance 0.616 0.2603 0.08305 0.03495 0.00403 0.00167
누적비율 : Cumulative Proportion  0.616 0.8763 0.95936 0.99431 0.99833 1.00000

plot(pc)

누적 비율(Cumulative Proportion) :

pc1 = 1개 그룹(분산 비율 : pc1) = 62% - 손실 38%

pc2 = 2개 그룹(분산 비율 : pc1 + pc2) = 88% - 12% 

pc3 = 3개 그룹(분산 비율 : pc1 + pc2 + pc3) = 96% - 손실 4%

pc4 = 4개 그룹(분산 비율 : pc1 + pc2 + pc3 + pc4) = 99.4% - 손실 0.6%

pc5 = 5개 그룹(분산 비율 : pc1 + pc2 + pc3 + pc4 + pc5) = 99.8% - 손실 0.2% 

pc6 = 6개 그룹(분산 비율 : pc1 + pc2 + pc3 + pc4 + pc5 + pc6) = 100% - 손실 0%

 

3개의 구룹으로 묶음 - (자연과학+물리화학) + (인문사회+신문방송) + 응용수학+추론통계) = 96%

 

해석 : 3개의 그룹으로 묶으면 96% 의미를 가져갈 수 있다(절대성의 의미X - 무조건 3그룹으로 묶을 필요X) 

- 분산비율 : Proportion of Variance 시각화 

 

 

- 고유값으로 요인 수 분석 

en <- eigen(cor(subject))
# $values : 고유값, $vectors : 고유벡터 , cor : 상관 변수간에 상관 계수를 계산 - 상관분석

names(en) 출력값 :  "values"  "vectors"

en$values # $values : 고유값(스칼라) 보기 - 선택의 근거를 만듦
출력값 : [1] 3.44393944 1.88761725 0.43123968 0.19932073 0.02624961 0.01163331

plot(en$values, typ="o") # 고유값을 이용한 시각화 

결론 : index 3까지 급현한 변화를 가지는데, 3개의 요인으로 remodeling 하면 최소의 오차를 가져가면서 성분에 대한 것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 무조건 이렇게 설정할 필요 x , 판단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요인분석   

cor(subject) # 상관계수의 값을 피드백 

cor : 상관 변수간에 상관 계수를 계산

 

- 연관성에 대한 수치화 (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연관성이 크다 ) 

상관도(유사성)가 높은 그룹 : s1 - s2 = 86.6% , s3 - s4 = 92.3% , s5 - s6 = 87.3% 

 

결론 : 3개의 그룹으로 합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요인분석 : 요인회전법 적용(varimax is the default) 

 

① 주성분분석의 가정에 의해서 2개 요인으로 분석

result <- factanal(subject, factors = 2, rotation = "varimax")
result # p-value is 0.0232  < 0.05 # 요인수가 부족.

유의 확률 값 = 0.0232 < 0.05  = 기각 

 

결과 : 2개로 결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많은 성분들이 손실한다. 

 

 

② 고유값으로 가정한 3개 요인으로 분석

result <- factanal(subject, factors = 3, # 요인 개수 지정 
                   rotation = "varimax", # 회전방법 지정("varimax", "promax", "none")
                   scores="regression") # 요인점수 계산 방법
result

적절할 때는 유의 확률 값을 축출하지 않습니다. = 적절함

 

해설: 

 

요인 적재량 보기  

names(result)
result$loadings

 

③ 다양한 방법으로 요인적재량 보기

 

print(result, digits = 2, cutoff=0.5) 
print(result$loadings, cutoff=0) # display every loadings

- print(result, digits = 2, cutoff=0.5) 

 

 

- print(result$loadings, cutoff=0) # display every loadings

 

 

 요인점수 
- 관측치의 동작을 살펴보는데 사용되며, 상관분석이나 회귀분석의 독립변수로 사용
- 각 변수(표준화값)와 요인 간의 관계(요인부하량)를 통해서 구해진 점수

 

요인점수를 이용한 요인적재량 시각화  

- Factor1, Factor2 요인지표 시각화 

plot(result$scores[, c(1:2)], main="Factor1과 Factor2 요인점수 행렬")
text(result$scores[, 1], result$scores[,2], 
     labels = name, cex = 0.7, pos = 3, col = "blue")

 

- Factor1, Factor2 요인지표 시각화 + 요인적재량 plotting

points(result$loadings[, c(1:2)], pch=19, col = "red")
text(result$loadings[, 1], result$loadings[,2], 
     labels = rownames(result$loadings), 
     cex = 0.8, pos = 3, col = "red")

 

- Factor1, Factor3 요인지표 시각화

plot(result$scores[,c(1,3)], main="Factor1과 Factor3 요인점수 행렬")
text(result$scores[,1], result$scores[,3], 
     labels = name, cex = 0.7, pos = 3, col = "blue")

 

- Factor1, Factor3 요인지표 시각화 + 요인적재량 plotting

points(result$loadings[,c(1,3)], pch=19, col = "red")
text(result$loadings[,1], result$loadings[,3], 
     labels = rownames(result$loadings), 
     cex = 0.8, pos = 3, col = "red")

 

 

3차원 산점도로 요인적재량 시각화

 

install.packages("scatterplot3d")
library(scatterplot3d)

Factor1 <- result$scores[,1]
Factor2 <- result$scores[,2]
Factor3 <- result$scores[,3] 
# scatterplot3d(밑변, 오른쪽변, 왼쪽변, type='p') # type='p' : 기본산점도 표시 
d3 <- scatterplot3d(Factor1, Factor2, Factor3)

- 요인적재량 표시 

loadings1 <- result$loadings[,1]
loadings2 <- result$loadings[,2]
loadings3 <- result$loadings[,3] 
d3$points3d(loadings1, loadings2, loadings3, bg='red',pch=21, cex=2, type='h')

 

 

요인별 변수 묶기 

 

① 요인별 과목변수 이용 데이터프레임 생성

app <- data.frame(subject$s5, subject$s6) # 응용과학 
soc <- data.frame(subject$s3, subject$s4) # 사회과학 
net <- data.frame(subject$s1, subject$s2) # 자연과학 

 

② 산술평균 계산 - 3개의 파생변수 생성 : 가독성과 설득력이 높다.

app_science <- round( (app$subject.s5 + app$subject.s6) / ncol(app), 2)
soc_science <- round( (soc$subject.s3 + soc$subject.s4) / ncol(soc), 2)
net_science <- round( (net$subject.s1 + net$subject.s2) / ncol(net), 2)

 

③ 상관관계 분석 - 요인분석을 통해서 만들어진 파생변수는 상관분석이나 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subject_factor_df <- data.frame(app_science, soc_science, net_science)
cor(subject_factor_df)

 

 

2. 잘못 분류된 요인 제거로 변수 정제

 

- 요인분석에 사용될 데이터 셋 가져오기 

 

① 데이터 가져오기

install.packages('memisc') # spss tool 포맷 파일 읽어오기
library(memisc)
setwd("C:/workspaces/R/data/")
data.spss <- as.data.set(spss.system.file('drinking_water.sav', , encoded = 'utf-8'))

head(data.spss)

 - 출력값 - 
Data set with 20 observations and 15 variables

   Q1 Q2 Q3 Q4 Q5 Q6 Q7 Q8 Q9 Q10 Q11 성별 연령 지역     학력
 1  3  2  3  3  4  3  4  3  4   3   4 32@Z 204k 4k18 @|9.4kA9
 2  3  3  3  3  3  3  2  3  3   2   3    2 204k 4k18 @|9.4kA9
 3  3  3  3  4  3  4  3  4  4   4   4 32@Z 204k 4k18     0mA9
 4  3  3  3  1  3  2  3  2  2   2   2    2 204k 4k18 @|9.4kA9
 5  3  3  2  2  3  3  2  2  2   2   2    2 204k 4k18 @|9.4kA9
 6  1  1  1  1  1  1  1  3  3   3   3 32@Z 304k 4k18 @|9.4kA9
 7  2  2  2  3  2  3  5  4  4   4   4    2 204k 4k18     4kA9
 8  2  2  1  2  1  2  1  2  2   2   2    2 204k 4k18 @|9.4kA9
 9  2  2  1  2  3  3  1  3  2   3   1    2 204k 4k18     4kA9
10  4  3  3  3  4  3  3  4  2   3   4    2 204k 4k18        5
11  3  4  4  3  4  4  4  5  5   5   5    2 204k 4k18     4kA9
12  2  1  1  2  2  2  1  4  4   5   5 32@Z 204k 4k18     0mA9
13  1  1  1  2  1  1  1  1  1   1   1    2 204k 4k18 @|9.4kA9
14  2  3  2  2  3  1  2  3  2   2   2    2 204k 4k18 @|9.4kA9
15  1  2  2  1  1  1  1  2  2   2   2 32@Z 304k 4k18 @|9.4kA9
16  3  2  2  2  3  2  2  2  2   2   1 32@Z 204k 4k18 @|9.4kA9
17  3  3  3  3  2  3  2  3  3   3   3    2 204k 4k18 @|9.4kA9
18  3  3  3  3  2  2  2  2  3   3   2    2 204k 4k18 @|9.4kA9
19  3  3  2  2  3  2  2  3  3   3   3    2 204k 4k18 @|9.4kA9
20  4  4  4  4  4  4  3  4  4   4   4    2 204k 4k18 @|9.4kA9

View(data.spss)

 

 

②  데이터프레임으로 변경

drinking_water <- data.spss[1:11]

drinking_water

- 출력값 -

Q1 Q2 Q3 Q4 Q5 Q6 Q7 Q8 Q9 Q10 Q11
 1  3  2  3  3  4  3  4  3  4   3   4
 2  3  3  3  3  3  3  2  3  3   2   3
 3  3  3  3  4  3  4  3  4  4   4   4
 4  3  3  3  1  3  2  3  2  2   2   2
 5  3  3  2  2  3  3  2  2  2   2   2
 6  1  1  1  1  1  1  1  3  3   3   3
 7  2  2  2  3  2  3  5  4  4   4   4
 8  2  2  1  2  1  2  1  2  2   2   2
 9  2  2  1  2  3  3  1  3  2   3   1
10  4  3  3  3  4  3  3  4  2   3   4
11  3  4  4  3  4  4  4  5  5   5   5
12  2  1  1  2  2  2  1  4  4   5   5
13  1  1  1  2  1  1  1  1  1   1   1
14  2  3  2  2  3  1  2  3  2   2   2
15  1  2  2  1  1  1  1  2  2   2   2
16  3  2  2  2  3  2  2  2  2   2   1
17  3  3  3  3  2  3  2  3  3   3   3
18  3  3  3  3  2  2  2  2  3   3   2
19  3  3  2  2  3  2  2  3  3   3   3
20  4  4  4  4  4  4  3  4  4   4   4
21  3  4  2  1  1  1  1  3  2   3   1
22  4  2  2  1  1  1  1  3  4   4   1
23  3  3  2  2  2  2  3  2  3   3   3
24  2  2  2  2  2  3  1  4  4   4   2
25  2  2  2  2  2  2  3  4  3   3   3
.. .. .. .. .. .. .. .. .. .. ... ...
(25 of 380 observations shown)

drinking_water_df <- as.data.frame(drinking_water) 

str(drinking_water_df)

- 출력값 - 
'data.frame':	380 obs. of  11 variables:
 $ Q1 : num  3 3 3 3 3 1 2 2 2 4 ...
 $ Q2 : num  2 3 3 3 3 1 2 2 2 3 ...
 $ Q3 : num  3 3 3 3 2 1 2 1 1 3 ...
 $ Q4 : num  3 3 4 1 2 1 3 2 2 3 ...
 $ Q5 : num  4 3 3 3 3 1 2 1 3 4 ...
 $ Q6 : num  3 3 4 2 3 1 3 2 3 3 ...
 $ Q7 : num  4 2 3 3 2 1 5 1 1 3 ...
 $ Q8 : num  3 3 4 2 2 3 4 2 3 4 ...
 $ Q9 : num  4 3 4 2 2 3 4 2 2 2 ...
 $ Q10: num  3 2 4 2 2 3 4 2 3 3 ...
 $ Q11: num  4 3 4 2 2 3 4 2 1 4 ...

 

③ 요인수를 3개로 지정하여 요인분석 수행

result2 <- factanal(drinking_water_df, factors = 3, rotation = "varimax",
                    scores = "regression")

print(result2, cutoff=0.5)

result2

- print(result2, cutoff=0.5)

Q4의 값이 파악한 바와 알고리즘으로 도출된 것이 다를 때, 이러한 요인의 변수값은 제거해서 처리해서 하는 것이 정확한 값을 피드백 받을 수 있습니다. 

 

요인별 변수 묶기 

① q4 칼럼 제외하여 데이터프레임 생성

dw_df <- drinking_water_df[-4] - 4번째열 제외 (Q4)

str(dw_df)

- 출력값 -
'data.frame':	380 obs. of  10 variables:
 $ Q1 : num  3 3 3 3 3 1 2 2 2 4 ...
 $ Q2 : num  2 3 3 3 3 1 2 2 2 3 ...
 $ Q3 : num  3 3 3 3 2 1 2 1 1 3 ...
 $ Q5 : num  4 3 3 3 3 1 2 1 3 4 ...
 $ Q6 : num  3 3 4 2 3 1 3 2 3 3 ...
 $ Q7 : num  4 2 3 3 2 1 5 1 1 3 ...
 $ Q8 : num  3 3 4 2 2 3 4 2 3 4 ...
 $ Q9 : num  4 3 4 2 2 3 4 2 2 2 ...
 $ Q10: num  3 2 4 2 2 3 4 2 3 3 ...
 $ Q11: num  4 3 4 2 2 3 4 2 1 4 ...

dim(dw_df) 출력값 :  [1] 380  10

cor(dw_df)

Q1~3(제품 친밀도) , Q5~7(제품적절성) , Q8~11(제품만족도)

 

 

② 요인에 속하는 입력변수별 데이터프레임 구성

제품만족도 저장 데이터프레임  
s <- data.frame(dw_df$Q8, dw_df$Q9, dw_df$Q10, dw_df$Q11) 

제품친밀도 저장 데이터프레임  
c <- data.frame(dw_df$Q1, dw_df$Q2, dw_df$Q3)

제품적절성 저장 데이터프레임 
p <- data.frame(dw_df$Q5, dw_df$Q6, dw_df$Q7)   

 

③ 요인별 산술평균 계산

satisfaction <- round( (s$dw_df.Q8 + s$dw_df.Q9 + s$dw_df.Q10 + s$dw_df.Q11) / ncol(s), 2)
closeness <- round( (c$dw_df.Q1 + c$dw_df.Q2 + c$dw_df.Q3) / ncol(c), 2)
pertinence <- round( (p$dw_df.Q5 + p$dw_df.Q6 + p$dw_df.Q7) / ncol(p), 2)

 

④ 상관관계 분석 

drinking_water_factor_df <- data.frame(satisfaction, closeness, pertinence)
colnames(drinking_water_factor_df) <- c("제품만족도","제품친밀도","제품적절성")
cor(drinking_water_factor_d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