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16)
Practice makes perfect
하이브(Hive)란? : MapReduce는 복잡도가 높은 프로그래밍 기법이 필요했고, 이는 업무 분석가 및 관리자들에게 빅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페이스북에서 SQL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하둡 데이터에 접근성을 높인 Hive 개발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둡에서 정형화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웨어하우스 인프라 입니다. 하이브 홈페이지 : hive.apache.org/ 초기에는 페이스북에서 개발되었지만 넷플릭스등과 같은 회사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개발되고 있으며, 오픈 소스로 공개되면서 2016년 2월 하이브 2.0이 릴리스되었습니다. (빅데이터의 가장 대표적인 SQL on Hadoop 제품으로 자리 잡음) 하이브(Hive) 수행 기능 1) 아파치 하이브는 아..
: 입력 양식의 폼 : 데이터 입력(form 안에서만 사용되며 , 단일 태그) - text : text 를 입력 할 수 있는 란을 생성. - button : 버튼 생성 - chekbox : 체크 박스는 그룹 아네서 여러 가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 file : 파일을 선택을 통해서 원하는 파일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password : 입력 시 , 특수 문자로 출력하여 노출 되지 않게 합니니다. - radio : 라디오 버튼은 그룹 주에 한개만 선택되도록 합니다. - reset : 초기화 버튼을 누르면 form 안에 있는 모든 입력 양식 태그가 초기화 됩니다. - submit : form 태그 안에 모든 입력 내용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form 안에 submit이 반드시 존재 합니다. ex) ..
1) 테이블 생성 태그 숫자에 맞춰서 밖의 테두리의 두깨가 결정 됩니다. = 행 = 열 2) 테이블의 속성 border = "?" : 테두리 선 두깨 alian = "center" : 글자 가운데 맞춤 bgcolor = "color" : 배경 색 bordercolor = "color" : 테두리 색 cellpadding = " " : 칸 안쪽 여벡 cellspacing = " " : 칸과 칸 사이의 여백 3) 열 합치기 - 위의 테이블에 1행 1열과 1행 2열을 합쳐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열에는 합치고 싶은 개수를 적고, 뒤에 있는 합쳐지는 열은 주석 처리해줍니다. - colspan 의 속성을 이용해서 열을 합칠 수 있습니다. 4) 행 합치기 열을 합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rowspan의 속성을 이..
톰캣의 태그를 이용한 글자의 효과 넣기 1) 글자가 흘러가듯 지나가게 만드는 태그 내용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반복해서 흘러가듯 지나갑니다. 2) 한번만 지나가고 멈추는 태그 슬라이드 문자열 3) 좌우로 이동하는 문자 태그 내용 4) marquee 를 이용한 추가 글자 효과 5) 목록 기본 태그 : ordered list = 번호가 있는 목록 태그 : list item = 목록 요소 : unordered list = 번호가 없는 목록 태그 6) 정의 목록 태그
앵커 태그 = 서로 다른 웹페이지 사이를 이동하거나, 웹페이지 내부에서 특정한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태그를 의미 합니다. 흔히 이야기 하는 하이퍼 텍스트가 앵커 태그를 의미합니다. 페이지에서 사전을 눌렀을 때 다음 페이지가 출력되게끔 만들져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창들은 서버에서 가지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앵클 테그를 만들어서 원하는 링크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보겠습니다. 내용 를 이용하여 앵커 태그를 만들어줍니다. 속석을 이용해서 이동해가고 싶은 주소를 넣어주면 이동하고 싶은 도메인으로 이동합니다. 네이버를 입려하여 누르면 네이버로 이동니다. 추가 적으로 앵커 태그를 넣으면 넣은 도메인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다음을 누르면 다음으 출력됩니다. 앵커 태그 2 : 같은 페이지 안에서 특정 위치로..
레디스(Redis)란? : (Redis)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서, "키-값"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입니다. IMDG(In-Memory Data Grid) 소프트웨어(메모리기반으로 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 분산 캐시 시스템이면서 NoSQL 데이터베이스처럼 대규모 데이터 관리 능력도 갖추고 있습니다. 실질적인 메모리 용량에 있어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소규모성의 빠른 필터링을 통해 영구 보관할 필요 없을 때 사용하는 데이터 셋) NOSQL: Not Only SQL,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그렇다면 왜, 언제 NOSQL을 쓰는 걸까요? 아주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가 필요할 때,..
HBase란? : 아파치 HBase(Apache HBase)는 하둡 플랫폼을 위한 공개 비관계형 분산 데이터 베이스이다. 구글의 빅테이(BigTable)을 본보기로 삼았으며 자바로 쓰여졌습니다.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의 아파치 하둡 프로젝트 일부로서 개발되었으며 하둡의 분산 파일 시스템인 HDFS위에서 동작을 합니다. HBase 홈페이지 : hbase.apache.org/ HBase의 특징 1) 하둡의 HDFS를 저장소로 사용하는 컬럼 기반 지향의 No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 - NoSQL DB는 데이터를 키/값(key/value) 형식으로 단순하게 구조화하는 대신 고성능의 쓰기/읽기가 가능하도록 만든 데이터베이스 (핵심포인트) – 실시간성의 처리 최적화 - HBase의 경우 특히 쓰기 성능에 좀 더 ..
스톰(STORM)이란? : 실시간 분산 처리기 - 빅데이터 프로젝트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병렬 프로세스(독자적으로 처리(MAP)의 결과를 최종의 결과로 모아주는 것 = reduce - 분산 병렬 처리 )로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Nathan Marz와 BacType의 팀이 개발하였으며, 이 프로젝트는 트위터에 의해 인수된 뒤 오픈 소스화되었습니다. 스톰의 특징 1) 스톰은 사용자가 만든 spout와 bolt를 사용하여 정보원과 조작부를 정의함으로써 스트리밍 데이터의 일괄, 분산 처리를 가능케 합니다. 2) 이벤트를 발생하게 하는 기능을 없어서 에스터를 연결하여 이벤트를 사용합니다. * 에스퍼 : 실시간 스트리밍(데이터가 움직이는 통로) 데이터의 복잡한 이벤트 처리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룰 엔진 3..